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속보!) 기초연금 40만원 인상! 드디어 최종 확정!!!

지난 12월 12일 복지부에서 기초연금 40만 원 지급 안을 확정했습니다 과연 어떤 내용인지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보건복지부 산하 사회보장위원회 지난 12월12일 복건복지부 산하 사회보장위원회가 복지정책 관련 최상위 계획인 사회보장 계획안을 발표를 했습니다. 이번 계획안에는 약자부터 두터운 복지 전 사회서비스 고도화 사회보장제도 혁신을 2024년부터 2028년까지 향후 5년간 중점 과제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기초연금의 단계적 확대 이번 사회보장위원에의 발표문에는 기초연금의 단계적 확대라는 말 한마디로 짧게 기재되어 있지만 결국 윤석열 정부에서는 내년 33만 4천 원인 기초연금을 2028년까지 빠르게 40만 원까지 인상하는 안을 확정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08년 도입당시 기초노..

카테고리 없음 2023. 12. 15. 09:25
2024년 기초연금 탈락! 건보료 폭탄? 이유 알아보기!!!

은퇴한 어르신들께 기초연금과 건강보험 피부양자는 노후 생활에 큰 도움이 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런데 피부양자와 기초연금이 중단되는 일이 심심치 않게 발생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이유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기초연금과 피부양자의 자격요건 기초연금 수급대상은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국내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소득하위 70%인 어르신들이 받으실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서 신청인과 그 배우자의 소득과 재산 그리고 부채까지 모두 반영한 소득인정액이 단독가구 202만 원, 부부가구 323만 2,000원 이하면 단독가구 32만 3,180원, 부부가구 51 먼 7,080원까지 받으실 수 있다는 것입니다.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이 상실되는 경우 1. 소득요건은 연 소득 2000만 원 초과하거..

카테고리 없음 2023. 12. 8. 15:16
(중요!)2024년 건강보험료, 소득과 재산 부부 합산, 부부 별도???

오늘은 피부양자와 건강보험료 계산 시 부부 각각인지 부부 합산인지 아주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피부양자 자격과 지역건강보험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피부양자는 소득과 재산율을 부부 각각 계산을 하고, 지역건강보험료는 소득과 재산을 모두 합산한 다음 세대별로 건보료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피부양자 자격 조건을 심사하실 때 재산요건은 과세 표준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살고 있는 아파트의 공시가는 10억 원이라고 가정하면, 공시가 10억 원 60% 적용하면 과세 표준은 6억 원이고 부부 공동명의라면 부부 각각 3억 원의 재산이 있습니다. 10억 원 (공시가) × 60% = 6억 원 (과세표준) (부부공동명의) 6억 원 / 2명 = 3억 원 (부부 각각)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을 위한 2가지 요건..

카테고리 없음 2023. 11. 29. 15:24
(속보)청년 주택 드림 대출 주담대 최저 1.5% 이자! 청년전용 청약 통장 출시 내년 2월 출시!!!

주택담보대출과 연계한 청년전용 청약통장이 나옵니다. 청약통장인데 이자가 최대 4.5%를 준다고 합니다. 이 청년 청약통장에 가입을 해서 아파트에 당첨되면 최저 1.5% 고정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무주택자에겐 좋은 소식입니다. 그런데 35세부터는 청년청약통장에 가입을 할 수가 없습니다. 설령 35세 전에 가입을 했어도 40세가 되면 최저 1.5% 이자로 대출을 받을 자격이 상실합니다. 오늘 정부에서 발표한 내용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목 차 청년전용 청약통장이란? 기존 청년우대형 청약통장과 다른점 기존 청년우대형 일반통장과 일반 청약종합저축에 가입한 사람은? 주담대 대출 이자가 최저 1.5%? 청년전용 청약통장이란? 청년전용 청약통장은 34세까지만 (유동적) 가입할 수 있습니다. 소득..

카테고리 없음 2023. 11. 27. 12:52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4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hakja1000.tistory.com | 운영자 : 아주스
제작 : 아주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