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일을 하고 있는 청년이라면 신청이 가능하고 매달 1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에서 지원금을 받아 자산을 불릴 수 있는 정부지원 사업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를 아래를 참고하셔서 자세하게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란? 청년내일저축계좌란 정부에서 지원하는 사업으로 청년이라면 누구나 매월 1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에서 지원금을 지원해 자산을 만들 수 있는 정부지원 사업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신청방법 청년내일 저축계좌 신청방법은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 신청이 가능합니다. 또 한 가지 온라인으로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온라인 신청은 복지로 (bokjiro.go.kr)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복지로 온라인 신청 경로 : 복지로 홈페이지 로그인 ▶서비스신청 ▶ 복지서비스신청 ▶복지급..

국민연금공단은 국민연금 부양가족연금과 유족연금의 지급대상 장애 인정 범위를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까지 확대하는 개정 국민연금법이 9월 14일에 시행된다고 밝혔습니다. - 9월 14일 국민연금법·시행령·시행규칙 일부개정안 시행 - 그동안은 국민연금은 연금 수급자에게 배우자, 장애등급 1·2급이거나 19세 미만인 자녀, 장애등급 1·2등급이거나 60세 이상인 부모가 있는 경우 연금액에 부양가족연금액을 더하여 지급을 했습니다. 가입자 또는 수급자가 사망하는 경우 배우자를 제회한 25세이상 자녀, 60세 미만 부모 등은 2급 이상인 경우에만 유족연금을 지급을 했습니다. 앞으로는 과거 장애인법에 따른 3급 장애인도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이면 부양가족연금과 유족연금 (최우선수위의 유족에 ..

국민연금을 받기 위해선 최소 가입기간이 10년(120개월)을 채워야 하는데요. 납부예외의 경우, 가입기간이 인정이 되지 않아서 가입기간을 못 채우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저소득 지역납부예외자 중 연금 보험료 납부를 다시 시작하는 분들(납부재개) 에게 보험료 일부를 지원하는 국민연금 지역가입자 보험료지원 제도에 대해 알려 드리려고 합니다. 목차 국민연금 납부예외 국민연금 지역가입자 보험료 지원제도란? 보험료 지원 신청방법 국민연금 지역가입자 보험료 지원제도 효과 국민연금 납부예외 국민연금 지역 가입자 668만 명 중 보험료 납부가 어려운 (사업중단, 실직, 휴직사유) 납부예외자가 303만 명(45%)이나 된다고 합니다. 사업장가입자 중 납부예외자는 1%(1,471만 명 중 13만 명)에 불과..

혹시 알고 계신가요? 2023년 6월 28일부터 만 나이 통일법이 시행이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받는 국민연금은 과연 받는 시기가 달라질까요? 오늘은 여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는 우리나라는 태어날 때 1 살이 되고 새해가 되면 1살씩 늘어나는 세는 나이와 (한국식 나이)와 태어난 때를 0살로 하고 그로부터 일 년이 지나 생이 되면 1살씩 증가하는 만 나이를 함께 사용을 해 왔는데요. 만 나이 사용이 보편화 되면서 한국식의 세는 나이보다 한 두 살씩 내려가게 됩니다. 그렇다면 혹시 만 나이의 도입이 국민연금 받는 시기가 까지도 늦어질까라는 의문이 듭니다. 결론적으로 먼저 말씀 드리면 아닙니다 그렇다면 국민연금의 노령연금은 몇 살부터 받을 수 있을까요? 노령연금은 국민연금 가입기간이..